Open PS2 Loader 기능중 추천하고픈 기능이 PC에 저장된 게임 이미지를 네트워크 연결을 이용해 바로 구동할수있습니다. 처음 구동시 약간 느리긴 하지만 로딩이 끝나고 플레이 중에는 버벅임을 느낄수 없습니다. (가끔 동영상 부분에서 약간 튄다 정도 느낄수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게임들을 어떠한 게임인지 알아보기위해 네트워크 덤프, 또는 PS2 하드를 PC에 연결해 덤프해서 구동하는것 보단 바로 구동해 보고 어찌 보관 할것인지 결정하는게 편리합니다.
그래서 간단하게 네트워크 연결로 Open PS2 Loader에서 게임 이미지를 구동하는 글을 준비했습니다.
Open PS2 Loader 네트워크 플레이 준비 1 PC편
PC에 있는 게임이미지를 Open PS2 Loader에서 바로 구동하기위서 PC와PS2에서 몇가지 설정을 해야 합니다.
PC 설정부터 차근 차근 해 보겠습니다.
이 글은 윈도우7, 윈도우 8 에서 적용 가능한 글 입니다.
Open PS2 Loader가 PC에 있는 게임이미지를 로딩할려면 PS2 게임 이미지가 든 폴더를 공유해야 합니다.
공유폴더를 만들 하드디스크 루트에 "PS2SMB"라는 폴더를 만들어 줍니다. 만들어진 PS2SMB폴더를 클릭해서 들어간후 그 안에 "DVD"폴더를 만들어 주세요. DVD폴더 안에 게임 이미지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게임 이미지를 "DVD" 폴더에 넣으실때 ISO 파일의 이름은 게임ID .PS2에서 보여지는 이름.iso 파일 형식이어야 합니다.
탐색기에서 PS2SMB폴더에 마우스 커서를 두고 오른쪽 버튼을 눌러주시면 위 이미지처럼 창이 뜹니다. "속성"을 선택해 주세요.
"공유"버튼을 눌러주세요.
텍스트를 입력할수있는 창이 뜹니다. 체크한 부분에 "GUEST"를 넣고 "추가"를 눌러주세요.
추가를 누르면 아래에 "GUEST"가 추가된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권한 수준이 "읽기"가 기본값인데 1번 화살표를 눌러 주시면 권한창이 뜨는데 "읽기/쓰기"를 선택하고 2번 "공유"를 눌러주세요.
"완료"를 눌러주세요.
완료를 눌러주시면 처음 "속성"창이 나오는데 닫지마시고 2번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눌러주세요.
이 "고급 공유 설정"은 윈도우 8 사용자 설정 입니다. 윈도우 7은 아래 참조하세요.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누르면 "고급 공유 설정"창이 드는데 화면을 유심히 보시면 "게스트 또는 공용"이란 항목이 있습니다. 클릭하셔서 펼쳐 주세요. 하단으로 내려 가면 "파일 및 프린터 공유 끄기"에 체크된것을 이미지 처럼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에 체크 합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모든 네트워크"항목이 있습니다. 눌러서 펼쳐주세요. 스크롤을 내리면 하단에 "암호 보호 공유 켜기" 에 체크된 것을 "암호 보호 공유 끄기"로 체크하시고 "변경 내용 저장"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속성 창을 닫아 주시면 됩니다.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눌러주세요.
"공용" 텝을 열어서 위 설정값대로 설정해 주세요. 그리고 "변경 내용 저장"을 눌러주시고 속성 창을 닫아 주시면 됩니다.
위 설정까지 하셨다면 PC에서 해야하는 작업은 끝났습니다. 이젠 PS2에서 설정만 하면 Open PS2 Loader로 PC에 있는 게임이미지(iso)를 바로 플레이 하실수 있습니다.
Open PS2 Loader 네트워크 플레이 준비 2 PS2편
위에서 작업은 PC에서 하는 작업이였요. 이제 PS2에 네트워크 설정을 잡아주면 끝납니다. PS2설정으로 넘어가기 전에 공유하는 PC에서 마지막 한가지 작업이 있습니다.
윈도우키 + R 을 눌러주세요. (윈도우7,8 공통)
"실행"창이 뜨면 텍스트 입력란에 "cmd"를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주세요.
도스 창이 뜨면 "ipconfig"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주시면 위 화면처럼 IP주소를 보여 줍니다. 보여주는 창은 제가 필요한 부분만 잘랐습니다. 잘 보시면 "IPv4, 기본 게이트웨이" 값을 찾으실수 있습니다.
IPv4, 기본 게이트웨이에 적힌 값들은 사용자 마다 틀립니다.
IPv4는 작업하시는 PC가 사용하는 IP입니다.
기본 게이트웨이는 공유기 IP입니다. 이 아이피를 인터넷 주소창에 입력하시면 공유기 설정화면으로 접속 됩니다.
IPv4, 기본 게이트웨이 값을 적어두시든, 아님 PS2가 컴 가까이 있다면 도스창을 띄워 두고 PS2를 켜 주세요.
부팅이 완료되면 Open PS2 Loader를 구동해주세요. 구동이 완료되면 "START" 버튼을 눌러 설정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설정
화면 설정
네트워크 설정
변경 저장
대하여
종료
전원 끄기
설정 화면에 들어가면 보이는 메뉴입니다.
"설정"을 눌러주세요.
"ETH 장치 시작 모드" 를 선택해서 키패드 상,하를 이용해 자동으로 맞추어 주세요. "확인"을 눌러주세요.
"네트워크 설정"메뉴를 선택 합니다. 접속해 보면 IP들이 보이네요. 혹시나 http://anikorea.tistory.com/22 게시물 처럼 mc0:SYS-CONF/IPCONFIG.DAT 에 PS2 아이피 설정을 하셨다면 " - PS2 - "란에는 수정없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 PC - 란에 도스창에서 확인한 IPv4 값을 넣어 주시면 됩니다. 나머지는 기본 값으로 두시고 "확인"을 눌러주시면 메뉴로 나옵니다. 메인 화면에서 저장을 누르시고 "START" 버튼을 눌러 게임 리스트 화면으로 돌아 가서 확인합니다.
만약 PS2란에 IP설정을 한번도 안하셨다면 아이피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이런식으로 수정해 주시고 꼭 저장하세요. 그리고 "START" 버튼을 눌러 게임 리스트 화면으로 돌아 가서 확인합니다.
"START" 버튼을 눌러 게임 리스트 화면으로 돌아와서 확인을 해야 겠지요. PS2에 장착된 HDD파일 리스트 입니다. 좌,우 키패드를 움직여 네트워크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ETH 게임"이라고 나오면서 리스트를 보여주네요. 아직 표지는 넣지 않아서 게임 리스트만 보여주네요.
게임 표지도 보여주고 싶으시다면 "PS2SMB"폴더 안에 "ART"폴더를 만들고 게임 표지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아 방법을 찾았습니다!!!
문제는 언더바가 아닌 마침표였습니다..ㅠㅠ
SLPM_650.10_Onimusha_1_JP 이런게임명에서
SLPM_650.10.Onimusha_1_JP 제품번호 뒤를 언더바대신 점으로 바꿔주니 바로 인식됩니다.!! 우왕 굳 >.< 많은 정보 얻어갑니다~~
안녕하세요 애니코리아님 아니.. 가온누리님.
항상 응원하고 있습니다.
USB 하드말고 일반 USB 8기가짜리에 iso파일 넣으려고 하는데요.
SLPM_650.10.Onimusha_1_JP.iso 이런식으로 파일명 바꿔서 최상위 폴더에 넣으면 되는지요?
그리고 4기가 이상 게임은 어떻게 넣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8기가짜리도 ps2하드용으로 바꿀 수 있나요?
일반 USB의 활용도 부탁드립니다 __)
제가 예상했던대로 USB만으로 해보니 동영상 나올때만 끊기고
게임시에는 잘 되더라구요. 랜선을 이용한거랑 진배없는 것 같습니다.
일단 FAT32로 포멧된 USB에 DVD폴더 만들어서 게임아이디를 통한 SLPM_650.10.Onimusha_1_JP.iso
이런식으로 넣으면 잘 되긴 하는데
4기가 이상 iso파일을 어떻게 나눠서 넣어야 하는지를 모르겠네요.
혹시 같이 찾아봐주실 수 있으신지요..? 이것만 해결된다면 참 좋을 것 같아요 ^^
1) EASEUS Partition Master 10.5 Professional 설치 후 USB를 ext2 4k로 포멧
2) Ext2Fsd-0.62 설치 후 드라이브 잡아주고 SLPM_650.10.Onimusha_1_JP.iso 이런식으로 복사
3) 다른 FAT32 USB로 e2opl 혹은 exopl 을 메모리카드로 복사해준다.
4) 런처elf로 e2opl 혹은 exopl 실행.
잘 모르는 초보입니다
7만번 ps2는 로더를 구성하려면,
이것저것 준비물이 많아서검색하다보니, 이 게시글을 통해
네트워크 로더라는것을 알게되어 실행에 옮겼습니다.
현재 pc의 내부 네트워크 공유로
SMB 서버 445포트를 이용하여 pc내부에 있는 파일을
하드가 달리지 않는 ps2 7만번버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이미지를 불러와서 실행하는데 까지는 성공하였습니다.
공유기를 통한 내부 네트워크 까지는 성공시켰는데,
외부 NAS를 통해 연결에 성공하신 분들이 꽤 있으신걸로 검색이 되는데,
자세한 글이 없어서 질문 남겨봅니다.
NAS는 iptime NAS-1 라는 모델인데,
현재 webdav, ftp, 서버는 인터넷이 가능한 모든기기에서 접속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설정은 동일하게 오픈로더를 통해 ETH 설정에서
ps2의 ip를 설정해주고, 내부 ip대신 NAS서버의 외부 ip를 넣고 포트는 어떻게 넣어줘야 할까요?
ps2에서 해줄수 있는 설정이 ip관련 부분과 port설정 그리고 ID / 비번 정도인데....
읽기 쓰기가 가능한 guest로만 가능한 건가요?
대/소문자를 가리나요?
NAS에서 따로 해줘야 하는 설정이 있다면, 어떤게 필요한가요?
혹시 다른 NAS기기에서 라도 외부연결을 통한 네트워크로더를 이용해
ps2 이미지를 마운트 하시는 분이 계시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NAS로 해본적도 없고 NAS도 가지고 있지 없지만, 네트워크 구조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외부에서 접속하려면 공유기를 설정하셔야 될것 같습니다. NAS는 클라우드(저장공간)지 네트워크 접속은 공유기가 중간에 있어서 가능하니까요.. 공유기 설정에 있는 포트포워딩 세팅에서 외부포트로 445번으로 접속되는 걸 NAS에 부여된 IP의 445로 가게끔 세팅을한 뒤에, 외부ip를 ps2 loader에서 잡아주면 성공할것 같네요.. 오래된 댓글이지만, 혹시나 다른분이라도 도움되시라고 남깁니다.
네트워크 로더 기능을 사용하려면 매번 컴퓨터를 켜야하는 단점 때문에 NAS의 SAMBA 공유를 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NAS 구축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보유하고 있으면 모르겠지만) iptime 공유기 중 나스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구매해 usb로 외장 하드연결후 사용하는 것이 비용절감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7`9만번 ps2이용자에게 아주 유리한 방법입니다.
저는 가온누리 님의 정보를 보고 NAS에 구축한 사람입니다.
처음이 어렵지 몇번 시도하다보니 되더군요.
지나가는 프로그래머님 말씀처럼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하시면 끝납니다. 그리고 OPL 셋팅란에서 SMB 서버 설정해주시고(나스), 폴더지정해주신다면 만사OK로 잘 동작합니다.
그런데.. 혹시나 게임 실행하면 바로 화면이 하얗게만 나오는건 무슨 문제인지 궁금하네요.
건버드와 이코가 그렇게 되는데.. 파일이 잘못된걸 구했는지.. 알수가 없네요. 문제점 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고.. 혹시나 파일이 잘못되었는가.. 공유 살짝만 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3만5번에서 셋업된 메모리 카드를 5만5번에 꼽은 후 별다른 설정없이 바로 ETH 로 연결 후 게임리스트 목록을 보여주는 반면, 7만5천번대 슬림플스에서는 연결은 되지만 게임 리스트가 보이질 않습니다. 방법이야 있겠지만, 시간도 그렇고 다른모델에서는 그냥 되는게 왜 슬림에서는 안되는건지 이해가 안가더군요 ㅡ
그 외에도 FMCB에서 몇 가지 어플이 슬림 버전에서는 실행 불가 라는 해외포럼의 글도 확인한 결과,
당시 슬림플스가 디자인을 중시하기보다는, 원가절감과 하드로더를 방지하자는 차원에서 개발되었다는
혹자의 글이 신빙성이 높아 보입니다.
원가절감이라는 말이 더욱 실감이 가는 부분,
시디 구동중에 탑로더 뚜껑 위에 살짝이나마 압이 감지가 되면
민감하게 반응하여 게임이 리셋되어 버리는 희한한 현상이 있더군요.
이런현상을 수리하는 관련 유튜브 영상도 있습니다.
쥔장님 제 생각엔 작은노트북에 이방식이 가장 좋고 게임도 무한대로 쉽게 구동가능하다고 생각하는데
근데 usb외장케이스로 pc에 연결한 sata하드320기가인데 ntfs로 포맷이 되어졌고 ps2smb안에 dvd폴더에 넣고 똑같이 공유를 주었는데 인식이 안되는건 제 방법이 잘못된건지 원래 안되는건지 모르겠네요
한마디로 피씨에 연결된 하드디스크도 공유대상이 되는건가요 아님 메인보드에 연결된 메인하드만 적용되나요
운영체제는 xp입니다
저기 마지막으로 죄송하지만 질문입니다.
그 컴퓨터가 꺼지면 플스가 공유된 파일을 찾지 못하던데
컴퓨터가 꺼져도 사용가능한 방법이 있나요?
PC가 꺼지면 당연히 못찾는답니다. 연결할 곳이 없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주로 사용하는것이 PS2에 하드를 달아 사용합니다. 오만번대 아래만 가능하고 칠만번대는 개조를 해야 가능합니다.
사용하시는 플스가 오만번대이고 네트워크 어댑터가 달려있다면 하드로더에 도전해 보세요.
흑흑 도와주세요..ㅠㅠ 3일째 계속 인터넷 뒤져보고 했는데.. 문제점 못찾겠어여 ㅠㅠ
하드가 없어서 PC에 있는걸로 게임하고 싶은데...ㅠㅠ
플스30005번 (개조했다가 랜즈 자주고장나서 랜즈 고치면서 칩 뺌(그래서 복사cd안돌아감))
FMCB,유런처,OPL 설치완료, ps2네트워크어뎁터,공유기,다이렉트케이블 있습니다.
그럼 지금 준비물은 다 된거지요?
공유기 홈이4개 있는데 2개는 컴퓨터에 1개는 ps2 네트워크 어뎁터에 부착!
(네트워크 어뎁터가 고장난건 아닌것 같습니다. 맥스드라이브에서 2번째메뉴 세이브파일 받아오기는 한번 해봤는데 받아지더라고요 검색도 되고..)
알려주신대로 ipconfig으로 플스 네트워크 설정완료
(OPL 설정에서 ip주소 및 공유명PS2SMB,GUEST설정완료)
(자동ip인데 인터넷 보니 미국사람 동영상이 수동으로 한다길래 그렇게도 해봤는데..)
PS2SMB폴더 공유하기 완료 (컴이2대인데 다른컴에서 공유폴더 잘 열리는거 확인)
PS2SMB폴더 안에 DVD 폴더안에 알려주신대로 게임들 Winrar로 ID찾아서 파일명 수정완료
(게임이미지ISO는 100개정도 있습니다.전부다 이름 바꿨는데...ㅠ)
이렇게 했는데... OPL에서 ETH GAMES에서 게임을 못찾습니다..ㅠㅠ
10번 시도해보면 8번은 그냥 로딩하다가 암것도 안보이고 가끔 303 에러뜨고 말고...
정말 모르겠습니다.ㅠ 무엇이 어떻게 틀린건지..ㅠㅠ 도와주세요 ㅠㅠ
아 방법을 찾았습니다!!!
문제는 언더바가 아닌 마침표였습니다..ㅠㅠ
SLPM_650.10_Onimusha_1_JP 이런게임명에서
SLPM_650.10.Onimusha_1_JP 제품번호 뒤를 언더바대신 점으로 바꿔주니 바로 인식됩니다.!! 우왕 굳 >.< 많은 정보 얻어갑니다~~
답글이 넘 늦었습니다.
문제 해결을 잘 하셨다니 다행이네요.
즐거운 게임플레이 하세요.^^
안녕하세요 애니코리아님 아니.. 가온누리님.
항상 응원하고 있습니다.
USB 하드말고 일반 USB 8기가짜리에 iso파일 넣으려고 하는데요.
SLPM_650.10.Onimusha_1_JP.iso 이런식으로 파일명 바꿔서 최상위 폴더에 넣으면 되는지요?
그리고 4기가 이상 게임은 어떻게 넣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8기가짜리도 ps2하드용으로 바꿀 수 있나요?
일반 USB의 활용도 부탁드립니다 __)
안녕하세요.
USB를 이용한 플레이는 극악의 로딩속도를 보여줄듯합니다.
위 글은 랜선을 이용해 PC에 있는 이미지를 실행하는 방법인데요.
USB를 이용한 방법은 저두 안해봤네요.
비슷하지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제가 예상했던대로 USB만으로 해보니 동영상 나올때만 끊기고
게임시에는 잘 되더라구요. 랜선을 이용한거랑 진배없는 것 같습니다.
일단 FAT32로 포멧된 USB에 DVD폴더 만들어서 게임아이디를 통한 SLPM_650.10.Onimusha_1_JP.iso
이런식으로 넣으면 잘 되긴 하는데
4기가 이상 iso파일을 어떻게 나눠서 넣어야 하는지를 모르겠네요.
혹시 같이 찾아봐주실 수 있으신지요..? 이것만 해결된다면 참 좋을 것 같아요 ^^
PS2 오픈로더 ext2 포멧 USB 4기가 이상 돌리기
1) EASEUS Partition Master 10.5 Professional 설치 후 USB를 ext2 4k로 포멧
2) Ext2Fsd-0.62 설치 후 드라이브 잡아주고 SLPM_650.10.Onimusha_1_JP.iso 이런식으로 복사
3) 다른 FAT32 USB로 e2opl 혹은 exopl 을 메모리카드로 복사해준다.
4) 런처elf로 e2opl 혹은 exopl 실행.
와 넘 피곤하네요 성공했습니다. 자야겠네요. ㅜㅜ 이것도 나중에 포스팅 부탁드려요. ^^
PS2는 항상 제게 새로운것을 주네요.
완전 모르고 있던 부분인데 감사합니다.^^
잘 모르는 초보입니다
7만번 ps2는 로더를 구성하려면,
이것저것 준비물이 많아서검색하다보니, 이 게시글을 통해
네트워크 로더라는것을 알게되어 실행에 옮겼습니다.
현재 pc의 내부 네트워크 공유로
SMB 서버 445포트를 이용하여 pc내부에 있는 파일을
하드가 달리지 않는 ps2 7만번버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이미지를 불러와서 실행하는데 까지는 성공하였습니다.
공유기를 통한 내부 네트워크 까지는 성공시켰는데,
외부 NAS를 통해 연결에 성공하신 분들이 꽤 있으신걸로 검색이 되는데,
자세한 글이 없어서 질문 남겨봅니다.
NAS는 iptime NAS-1 라는 모델인데,
현재 webdav, ftp, 서버는 인터넷이 가능한 모든기기에서 접속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설정은 동일하게 오픈로더를 통해 ETH 설정에서
ps2의 ip를 설정해주고, 내부 ip대신 NAS서버의 외부 ip를 넣고 포트는 어떻게 넣어줘야 할까요?
ps2에서 해줄수 있는 설정이 ip관련 부분과 port설정 그리고 ID / 비번 정도인데....
읽기 쓰기가 가능한 guest로만 가능한 건가요?
대/소문자를 가리나요?
NAS에서 따로 해줘야 하는 설정이 있다면, 어떤게 필요한가요?
혹시 다른 NAS기기에서 라도 외부연결을 통한 네트워크로더를 이용해
ps2 이미지를 마운트 하시는 분이 계시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NAS에 이미지를 넣고 구동하는 방법 많이 사용하시죠.
저두 NAS를 이용한 플레이를 구상하고 있긴 한데 제가 NAS가 없습니다. -.-
그래서 전혀 도움을 못드리네요.
혹시 이 글을 보시는분중 NAS를 이용한 플레이를 하신다면 도움좀 주고 가세요.^^
NAS로 해본적도 없고 NAS도 가지고 있지 없지만, 네트워크 구조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외부에서 접속하려면 공유기를 설정하셔야 될것 같습니다. NAS는 클라우드(저장공간)지 네트워크 접속은 공유기가 중간에 있어서 가능하니까요.. 공유기 설정에 있는 포트포워딩 세팅에서 외부포트로 445번으로 접속되는 걸 NAS에 부여된 IP의 445로 가게끔 세팅을한 뒤에, 외부ip를 ps2 loader에서 잡아주면 성공할것 같네요.. 오래된 댓글이지만, 혹시나 다른분이라도 도움되시라고 남깁니다.
NAS도 포트포워딩을 통한 접속을 한다고 이해하고 작업하면 되는거였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S2는 오랜시간이 흘러도 즐기는 기기라 남겨주신댓글이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네트워크 로더 기능을 사용하려면 매번 컴퓨터를 켜야하는 단점 때문에 NAS의 SAMBA 공유를 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NAS 구축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보유하고 있으면 모르겠지만) iptime 공유기 중 나스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구매해 usb로 외장 하드연결후 사용하는 것이 비용절감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7`9만번 ps2이용자에게 아주 유리한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도 NAS구축을 하는것보다 공유기를 이용한 방법이 최고 좋을거란 생각을 하네요.
방문, 댓글 감사합니다.
저는 가온누리 님의 정보를 보고 NAS에 구축한 사람입니다.
처음이 어렵지 몇번 시도하다보니 되더군요.
지나가는 프로그래머님 말씀처럼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하시면 끝납니다. 그리고 OPL 셋팅란에서 SMB 서버 설정해주시고(나스), 폴더지정해주신다면 만사OK로 잘 동작합니다.
그런데.. 혹시나 게임 실행하면 바로 화면이 하얗게만 나오는건 무슨 문제인지 궁금하네요.
건버드와 이코가 그렇게 되는데.. 파일이 잘못된걸 구했는지.. 알수가 없네요. 문제점 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고.. 혹시나 파일이 잘못되었는가.. 공유 살짝만 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나스가 생각보다 설정이 쉽나보네요.
게임실행시 화면이 하얗게 나오거나 하면서 게임구동이 안되는 경우는 로더에서 호환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때는 ESR를 이용한 플레이등 다른방법을 시도해 보시고 그래도 안되면 그 게임은 포기하시는게 좋습니다.^^
통상적으로 화면이 하얗게 나오는 것은 원본 게임 번호를 파일명에 잘못기재하면 그렇게 될 수 있다고 오픈로더 제작자가 설명합니다.
게임번호 지정.
쉬운듯하면서 어려(?)운 작업~~!!
하다보면 헷갈려서 실수를 할때가 많더군요.^^
근데 제가 와이파이 중계기-PS2를 연결하는데 그런 경우에도 저렇게 하면 되는가요?
또 와이파이에 비번이 걸려있는데 그건 상관없는건가요?
플스2 초짜 도움 좀 부탁드립니다!
와이파이 중계기라 함이 어떤것인지요?
PS2를 무선으로 연결하셨다는 말씀인가요..?
PS2 무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몰라서 저는 해본적이 없어서 답을 드리기 힘드네요.
아 컴퓨터에 연결된 공유기가 플스2랑 먼곳에 있어 플스2가 있는 방에 라우터를 설치했습니다.
제가 이 글을 작성할때 공유기를 통해 PS2에 인터넷을 연결하면서 작성을 했습니다.
공유기 아이피를 이용해서 글대로 설정하시면 될듯 합니다.
자세한 설명덕분에 실행할 수 있었습니다.
40기가 초구형 IDE 하드가 달린 노트북에 와이파이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Z.O.E를 무리없이 플레이 할 수 있음에 다시 한 번 놀랐습니다.
사용자 시스템, 설정 부분이 다르기에 글대로 해도 잘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한번에 잘 되셨다니 다행 입니다.
PC와는 상관없이 랜 연결만 원할하다면 플레이하는데 크게 지장이 없을겁니다.
다만 리스트 읽어들일때 게임이 많으면 많이 버벅이긴 하더군요.^^
네. 시작시 컬러화면이랑, 로딩속도가 장착된 HDD에서 시작하는것보다 조금 느리긴 느리더라고요 ^^:
그래도 이정도까지 활용할수있다는것이 참 놀랍고 편하답니다.
즐겜 하세요.^^
3만5번에서 셋업된 메모리 카드를 5만5번에 꼽은 후 별다른 설정없이 바로 ETH 로 연결 후 게임리스트 목록을 보여주는 반면, 7만5천번대 슬림플스에서는 연결은 되지만 게임 리스트가 보이질 않습니다. 방법이야 있겠지만, 시간도 그렇고 다른모델에서는 그냥 되는게 왜 슬림에서는 안되는건지 이해가 안가더군요 ㅡ
그 외에도 FMCB에서 몇 가지 어플이 슬림 버전에서는 실행 불가 라는 해외포럼의 글도 확인한 결과,
당시 슬림플스가 디자인을 중시하기보다는, 원가절감과 하드로더를 방지하자는 차원에서 개발되었다는
혹자의 글이 신빙성이 높아 보입니다.
원가절감이라는 말이 더욱 실감이 가는 부분,
시디 구동중에 탑로더 뚜껑 위에 살짝이나마 압이 감지가 되면
민감하게 반응하여 게임이 리셋되어 버리는 희한한 현상이 있더군요.
이런현상을 수리하는 관련 유튜브 영상도 있습니다.
네트워크 설정 부분은 같다고 볼때 말씀하신 부분이 맞을수도 있겠네요.
특히나 몇가지 어플이 슬림버전에서 구동이 안된다는 부분은 저도 처음 듣는 말이네요.
제가 7만번대 PS2 사용을 해본적이 없어서 그 부분까지 신경을 못 쓴듯 하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슬림플스는 라이트 유저분들의 데코레이션 개념 기체라고 생각합니다. 플1 이후 시디만 넣고 플레이만 할 줄 알았는데 늦깍이로 플2에 입문해서 누리님 블로그에서 많이 배우는 중입니다. ^^:
하드플스2 사용중인데 오픈로더에서 하드로더로 iso파일을 인스톨하는 방법은 없나요?
아니면 usb에 iso를 복사해서 하드로더에 설치하는 방법이라도.
하드로더 최신버전은 몇버전인가요?
오픈로더나 하드로더의 이미지파일 불러오는 경로가 같기에 하드로더 사용을 위해 따로 이미지를 인스톨 할 필요는 없습니다.
정품시디라면 IOS이미지를 만들어서 윈힙등 덤프 프로그램을 이용하셔서 하드에 넣으시면 됩니다.
정품게임 한두장 정도 하드에 넣을거라면 하드로더를 실행하고 PS2에 정품게임시디를 넣고 인스톨 하시면 됩니다.
하드로더 버전은 http://pastimelife.com/18글에 있는 프로그램으로 패치하면 '08b r2j '버전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가온누리님 덕분에 구운씨디안쓰고 오픈로더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가지 여쭙고 싶은데 혹시 오픈로더에서 코드브레이커 적용이되나요??
구입한 fmcb 메모리에 코드브레이커9.2가 있어서 사용하고 싶은데 방법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하두 오래되서 기억이 가물가물 하네요.
코드브레이커 적용해서 오픈로더에서 이용이 가능합니다.
일단 코드가 있어야 하고 코드를 코브에 입력해서 불러오고 스타트하면 됩니다.
메모리카드에 들어있는 코브가 어떤것인지 모르지만 코브에서 코드 적용, 스타트를 누루면 오픈로더가 바로 실행될수도 있고 런처 화면이 나올수도 있는데 런처 화면이 나오면 오픈로더파일을 찾아서 실행하면 코브적용이 될겁니다.
가물가물한 기억으로 생각나는대로 적었는데 해 보시고 정 안되면 다시 글 남겨 주세요.
코브적용후에 바로 오픈로더로 안되고 회색화면나와서 해맸네요
잘 찾아보니 오픈로더elf 실행하니까 잘 됩니다 감사합니다
네. 대부분 그렇게 사용했습니다.^^
잘 사용하세요.
랜카드 하나 더 장착후 크로스 케이블로는 하는방법이 없나요??
PC가 가까이 있다면 크로스 케이블로 가능합니다.
다만 설정 방법은 예전에 한번 해보고 안해서 기억이 안난다는것이 함정 입니다.^^;
포스팅보고 NAS에서 오픈로더로 이미지 파일 구동 했네요 NAS에서 어떻게 잡아야할지 몰랐는데 다른건 다 같고 NAS의 주소랑 폴더설정만 따로 해주면 되더군요....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나스 활용을 제대로 하시는군요.^^
opl버전에 따라 게임아디 안써도 인식바로 되더군요
그런가요..?
정말 편리해 졌네요.^^
쥔장님 제 생각엔 작은노트북에 이방식이 가장 좋고 게임도 무한대로 쉽게 구동가능하다고 생각하는데
근데 usb외장케이스로 pc에 연결한 sata하드320기가인데 ntfs로 포맷이 되어졌고 ps2smb안에 dvd폴더에 넣고 똑같이 공유를 주었는데 인식이 안되는건 제 방법이 잘못된건지 원래 안되는건지 모르겠네요
한마디로 피씨에 연결된 하드디스크도 공유대상이 되는건가요 아님 메인보드에 연결된 메인하드만 적용되나요
운영체제는 xp입니다
외장도 공유하시면 가능할듯 하네요.
직접 해본것이 아니라 장담은 못하지만 공유설정만 되면 될듯 한데 방화벽이랑 잘 체크해 보세요.
게임이름(파일명)을 한글로하면 인식이 안되나요?
예를들어 SLKA_123.45.SAKURA 요런 이름을 SLKA_123.45.사쿠라
이렇게하면 인식자체를 못하거나 불가능한가요?
오래된 글이라 보실지 모르겠지만
PS2SMB폴더를 만들때 최상위 경로에다가 만들어야만하나요?
예를들어 D드라이에 game 이란 폴더를 만들어 거기에 PS2SMB폴더를 만들면 인식이 안된다거나 하는지요?
D:/PS2SMB <--- 꼭 요렇게 만들어야 되는지
d:/GAME/PS2/PS2SMB <---- 요렇게 만들어도 상관없는지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설정에서 경로만 잘적고 공유하면 되지않을까 싶네요
저는 그냥 최상위에 만들어서 확실친 않네요
마침 집 공유기에 공유 기능이 있어서 하드 달고
공유기에 물려서 쓰고 있습니다
게임들도 잘 불러와 지는군요
참고로 테스트 한다고 하드에다 폴더 안넣고
연결 했더니 폴더가 잔뜩 생겨나는군요.
근데 안에 CD APPS 등등 폴더가 잔뜩 생기는데
이 폴더들은 무엇에 쓰는걸까요...
DVD는 게임 이미지 들어가는건 아는데...
CD는 PS1 게임인가??
ART는 여기에 나온 그 게임 표지인가 그거 넣으니까
표지가 생겨납니다